반응형

CAN통신의 특징 2

[CAN] CAN통신의 특징 | 자동차 통신 | CAN Controller | CAN Tranceiver | TXD | RXD | Baud Rate | Sampling Point - 작성중

MCU(Micro Controller Unit) : 제어기 안에 있는 소형의 컴퓨터, CPU, 메모리를 포함한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들이 들어 있음 Peripheral : MCU에 들어있는 주변 하드웨어 장치들 CAN Controller : (Data Link Layer) 메시지에 담기는 값과 관련됨 Peripheral 중에서 CAN통신과 연관된 동작을 하는 장치를 CAN Controller라고 함 CAN 통신 프로토콜, 스펙에 따라 컨트롤 함 CPU가 어떠한 메시지를 CAN통신으로 보내야 한다고 판단하면 CAN Controller에게 데이터를 전달하여 처리하게 함 CAN Frame의 Field에 메시지를 채워 내보내는 역할 Bus에 다른 제어기가 메시지를 보내고 있지 않은지도 판단 에러 처리 CAN Tr..

CAN 2023.10.10

[CAN] CAN통신의 특징 | 자동차 통신 | 브로드캐스트 방식 | 캔통신 | CAN High | CAN Low | D sub 9 pin

자동차 통신에서 주로 이용되는 CAN 통신 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. CAN 통신은 BUS형 토폴로지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. 이는 제어기를 1:1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BUS를 이용하여 여러 제어기를 BUS로 연결하는 방식인데 BUS형 토폴로지의 장점은 제어기를 확장하고 제거하기 용이함 구성이 단순하며 전선이 적게 필요함 -> 무게에 유리함 이 있으며 BUS형 토폴로지의 단점으로는 BUS에 연결된 제어기 하나가 고장 난 다면 다른 제어기에게도 영향을 미쳐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. 해결 방안 : CAN Bus Off, 고장난 제어기를 Off 시켜 더 이상 통신을 하지 않게 만듦 BUS형 토폴로지는 Broadcast 방식의 메시지 송신을 이용하는데 Broadcast 방식 메시지 송신 ..

CAN 2023.10.05
반응형